대용량 보조배터리 리튬용량 확인 방법 및 노트북 리튬 용량 확인방법, 특히 리튬이온배터리와 리튬메탈배터리의 기내 반입 허용량 확인 기준이 다른 이유 등을 이해가 쉽게 알려드리는 글입니다.
1. 기내 반입 배터리 허용량 기준, 리튬이온배터리는 Wh, 리튬메탈배터리는 g을 사용하는 이유
반복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폭발 우려가 적은 리튬이온배터리는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전력량, 와트시)을 기준으로 하며, 주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배터리 부착 전자기기인 노트북,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등에 사용됩니다.
리튬메탈배터리는 일회용이며, 폭발 가능성이 높은 배터리임에도 같은 크기에서 오랫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극저온이나 고온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장시간 대기상태로 보관해야하는 제품인 비상의료기기, 군사용 드론, 위성 등 우주장비, 극지방 탐사장비, 고성능센서 등에 주로 사용되며, 리튬 자체의 양(g)이 배터리의 위험도를 결정하므로 g단위를 사용하여 기내반입 배터리 허용양을 판단합니다.

2. 대용량 보조배터리 리튬 용량(Wh) 확인 방법
아래 사진을 보시다시피, 대용량 보조배터리 외부에는 정격 3.7V 10000mAh과 입력 및 출력 정보 외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배터리의 리튬 용량이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격 전압(V)및 전류(mAh, 암페어시) 정보가 표기되어 있어, 리튬용량(Wh,와트시)을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wh(와트시)= 전압(v)x전류(Ah, 암페어시)입니다. 다만 전류를 암페어시가 아닌, mAh(밀리암페어시)로 표기한 경우에는 Wh = (V × mAh) ÷ 1000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래 보조배터리의 리튬용량(와트시)를 계산해보면, (3.7 × 10000) ÷ 1000, 즉 37Wh(와트시)에 해당합니다.
즉, 배터리 중 10000mAh는 37Wh에 해당하고, 20000mAh는 74Wh에 해당하며, 25000mAh는 92.5Wh에 해당하므로, 30000mAh에 해당하지 않는 한, 항공사 승인없이 1인당 5개씩 반입이 가능한 기내반입배터리에 해당합니다.

최근 강화된 기내 배터리 반입에 대해 더 궁금한 사항은 아래 글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및 항공사승인 대상 배터리 구별까지 완벽 정리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및 항공사승인 대상 배터리 구별까지 완벽 정리
강화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및 항공사 승인 대상 보조배터리 구분 방법, 노트북, 전자담배, 전동휠체어, 킥보드 등 배터리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기내 반입 용량, 리튬이온배터리 및 리튬
airport-korea.tistory.com
3. 노트북 리튬 용량(Wh) 확인 방법
배터리 용량은 일반적인 노트북의 경우 40~80wh에 해당하고, 대용량 배터리 모델의 경우에도 99wh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노트북의 리튬 용량은 기내 반입 배터리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며, 2025년 3월부터 강화되는 기내 배터리 반입 규정 중 항공사의 별도 승인을 받아야하는 배터리에도 해당하지 않습니다.

아래 사진은 엘지 그램 노트북의 외부(바닥) 사진이며, 정격전압만 19V 3.42A만 표시되어 있어, 노트북의 리튬 용량을 바로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리튬용량(와트시 wh)는 Ah(암페어시) 또는 mAh(밀리암페어시)가 있어야만 가능하지만, A(암페어)만 표기되어 있어, 이 노트북의 리튬 용량(와트시 wh)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
A(암페어)는 순간 적인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배터리 전류가 3.42A라고 하면 3.42A의 전류가 1초에 흐를 수도 있고, 1시간 내내 흐를수도 있는 것이라서, A(암페어)만으로는 배터리 사용시간을 알 수가 없어서, 배터리 용량을 구할 수가 없는 것이며, Ah(암페어시)는 1시간 동안 흐르는 양으로, 전류에 시간개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 즉 와트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공식홈페지에서 제품의 모델명에 맞는 매뉴얼을 다운로드 받아, 메뉴얼에서 배터리 용량을 직접 확인하시거나, 노트북의 설정화면에서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 제품의 제품명은 위 사진의 15U480이 아니라, 아래 사진의 바코드에 있는 확인하셔야 하므로, 15UD480-K까지입니다.

엘지전자 홈페이지의 고객지원 > 매뉴얼/소프트웨어 다운로드에서 노트북의 모델명을 입력하여, 매뉴얼을 찾으신 후, 매뉴얼에서 "배터리"를 검색해보시면 전원공급기 및 허용환경란에 배터리의 종류가 리튬이온배터리라는 것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제는 노트북 자체에서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만 남았습니다.
- 노트북을 켜고, 키보드에서 윈도우키를 누른다
- 검색화면에 cmd를 입력하고 나서 enter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검은색 화면이 나타난다.

- 검은색 화면에 powercfg /batteryreport 를 검색한다.

- "배터리 사용 시간 보고서가 파일 경로 C:\Users\USER\battery-report.html에 저장되었습니다."라고 나오면, 이 중 경로에 해당하는 C:\Users\USER\battery-report.html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 넣고 enter를 누르면 battery report가 표시됩니다.

- battery report에서는 Design Capacity (설계 용량)과 Full Charge Capacity (완전 충전 용량)이 표시되는데, 이것은 원래 이 노트북의 설계 용량은 50.73Wh(50,730mWh) 이었지만, 현재는 배터리 성능의 저하로, 완전 충전을 하더라도 최대 34.66Wh (34,655mWh )까지만 충전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4. 아이패드 리튬 용량(Wh) 확인 방법
아이패드 뒷면에는 모델명과 시리얼넘버 외에 아무런 정보도 없어 기내반입 가능한 태블릿PC인지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도 배터리 리튬 용량을 확인하기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의 모델명에 맞는 매뉴얼을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거나, 설정화면 등을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
댓글